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
- rps.apk
- 인자 전달
- SQL
- enumerate
- 릴레이션 생성
- sys
- 데이터 무결성
- ZIP
- ADB
- 데이터베이스
- 무결성 제약조건
- __main__
- RPS
- android
- main
- Android 서명
- CodeEngn
- Programming
- select
- db
- Python
- 스키마 생성
- SECCON
- Database
- Android 디컴파일
- Pay1oad
- __name__
Archives
- Today
- Total
블로그
13주차 본문
가설(Hyphothesis)
모수에 대한 예상, 주장, 또는 단순한 추측
귀무가설 또는 영가설(Null Hypothesis, H0)
통계학에서 처음부터 버릴 것을 예상하는 가설이다.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H1)
귀무가설에 대립하는 명제이다.
즉, 귀무가설에 반대되는 가설이다.
가설검정
증거를 수집하여 가설이 맞는지 확인하는 단계
유의수준
객관적인 증거가 95% 필요하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꼭 그런것이 아니다.
이럴때 발생하는 것이 오류이다.
유의확률
귀무가설을 가정하였을 때 표본 이상으로 극단덕인 결과를 얻을 확률이다.
실험의 유의확률은 0~1 사이의 값을 가진다.
p-value
관찰된 데이터가 귀무가설과 양립하는 정도를 0에서 1사이의 수치로 표현한 것이다.
p-value가 작을수록 그 정도가 약하다고 보며, 특정 값(대개 0.05) 보다 작을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선택하게 된다.
통계에서 대립가설이 더 중요한 이유
원래 있던 귀무가설을 깨고 새로운 사실을 입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A%B7%80%EB%AC%B4_%EA%B0%80%EC%84%A4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B%A6%BD_%EA%B0%80%EC%84%A4
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C%9D%98_%ED%99%95%EB%A5%A0
가천대학교 확률과 통계 이영호교수님
Comments